차이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| 이전 판 | ||
gentoo:learn_gentoo:gentoo_an_unfamiliar_story [2024/05/08 02:18] – [glsa-check] baecy | gentoo:learn_gentoo:gentoo_an_unfamiliar_story [2024/05/08 03:12] (현재) – [portageq] baecy | ||
---|---|---|---|
줄 160: | 줄 160: | ||
etc/ | etc/ | ||
==== emirrordist ==== | ==== emirrordist ==== | ||
+ | 패키지 배포 파일 미러링 도구. | ||
+ | <code lang=bash> | ||
+ | root # | ||
+ | 사용법: emirrordist [옵션] < | ||
+ | |||
+ | emirrordist - 패키지 배포 파일 미러링을 위한 가져오기 도구 | ||
+ | |||
+ | 선택적 인수: | ||
+ | -h, --help | ||
+ | |||
+ | 액션: | ||
+ | --version | ||
+ | --mirror | ||
+ | |||
+ | 일반적인 옵션: | ||
+ | --dry-run | ||
+ | --verbose, -v stderr에 추가 정보를 표시한다 (중첩해서 사용하면 발생하는 내용 증가) | ||
+ | --ignore-defauilt-opts | ||
+ | --distfiles DIR 사용할 디렉터리 distfiles (필수) | ||
+ | --jobs JOBS, -j JOBS | ||
+ | --load-average LOAD, -l LOAD 새 동시 작업의 스폰을 위한 로드 평균 한도 | ||
+ | --tries TRIES 파일당 최대 시도 횟수, 0은 무제한을 의미합니다. (기본값은 10) | ||
+ | --repo REPO 작업할 리포지토리 이름 | ||
+ | --config-root | ||
+ | --repositories-configuration REPOSITORIES_CONFIGURATION | ||
+ | | ||
+ | --strict-manifests < | ||
+ | --failure-log FILE | ||
+ | --success-log FILE | ||
+ | --scheduled-deletion-log FILE 출력, 보고용으로 탭으로 구분된 예약된 삭제를 위한 로그 파일 | ||
+ | --delete | ||
+ | --deletion-db FILE | ||
+ | --deletion-delay SECONDS | ||
+ | --temp-dir | ||
+ | --mirror-overrides FILE 미러 오버라이드 목록이 있는 파일 | ||
+ | --mirror-skip MIRROR_SKIP | ||
+ | --restrict-mirror-exemptions RESTRICT_MIRROR_EXEMPTIONS | ||
+ | | ||
+ | --verify-existing-digest | ||
+ | --distfiles-local DIR distfiles-local로 사용할 디렉토리 | ||
+ | --distfiles-db FILE Recycle dir에 있는 파일의 수명을 추적하는 데이터베이스 파일 | ||
+ | --recycle-dir DIR --delete 옵션이 붙어있는 파일이 재사용을 위한 대기중에 사용하는 디렉토리 | ||
+ | --recycle-db FILEdist FILE-db | ||
+ | --recycle-deletion-delay SECONDS | ||
+ | | ||
+ | --fetch-log-dir DIR 개별 패치 로그의 보관 디렉터리 | ||
+ | --whitelist-from FILE 화이트리스트에 추가할 파일 목록이 포함된 파일을 지정한다. | ||
+ | | ||
+ | **man emirrordist**를 참조하세요. | ||
+ | |||
+ | |||
+ | |||
==== env-update ==== | ==== env-update ==== | ||
+ | 환경 설정을 자동으로 업데이트 합니다. | ||
+ | <code lang=bash> | ||
+ | root # env-update -h | ||
+ | 사용법: env-update [--no-ldconfig] | ||
+ | |||
+ | man 1 env-update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.</ | ||
+ | **man env-update**도 함께 읽어 주십시요. 젠투에서 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몇 가지 정보는 [[https:// | ||
==== fixpackages ==== | ==== fixpackages ==== | ||
+ | 모든 패키지에 대해 패키지 이동 업데이트를 수행합니다. | ||
+ | <code lang=bash> | ||
+ | root # fixpackages -h | ||
+ | 사용법: fixpackages [-h] | ||
+ | |||
+ | fixpackages 프로그램은 구성 파일, 설치된 패키지 및 바이너리 패키지에 대한 패키지 이동 업데이트를 수행합니다. | ||
+ | |||
+ | 선택적 인수: | ||
+ | -h, --help | ||
+ | **man fixpackages**도 참고하세요. | ||
==== regenworld ==== | ==== regenworld ==== | ||
+ | 포티지 로그파일에서 과거에 수행한 모든 작업을 확인하여 월드 파일을 재생성합니다. | ||
+ | <WRAP warning center round 100%> | ||
+ | **경고** \\ | ||
+ | 이 도구를 사용하기 전에 기존 월드 파일(/ | ||
+ | <code lang=bash> | ||
+ | root # regenworld -h | ||
+ | 이 스크립트는 로그파일에서 과거에 수행한 모든 작업을 확인하여 | ||
+ | 포티지 월드 파일을 다시 생성합니다. | ||
+ | 이 스크립트는 --help를 제외한 모든 인수를 무시합니다. | ||
+ | 기존 월드 파일(/ | ||
==== portageq ==== | ==== portageq ==== | ||
+ | 자세한 내용은 [[.portageq]]를 참조하세요. | ||
==== quickpkg ==== | ==== quickpkg ==== | ||
+ | 포티지 패키지를 생성합니다 - 자세한 내용은 [[https:// | ||
+ | <code lang=bash> | ||
+ | 사용자 $quickpkg --help | ||
+ | 사용법: quickpkg [옵션] < | ||
+ | |||
+ | 선택적 인수: | ||
+ | -h, --help | ||
+ | --umask | ||
+ | --ignore-default-opts | ||
+ | --include-config < | ||
+ | --include-unmodified-config < | ||
+ | | ||
==== repoman ==== | ==== repoman ==== | ||
+ | <WRAP alert center round 100%> | ||
+ | 이 섹션의 정보는 **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**. 현재 사용법과 __관련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__. 주의해서 다루세요!</ | ||
+ | repoman은 이빌드 테스트에 사용되는 개발 도구입니다. 버전 2.3.0부터는 포티지와 별도로 [[https:// | ||
+ | |||
+ | 이제 [[https:// | ||
==== glsa-check ==== | ==== glsa-check ==== | ||
[[https:// | [[https://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