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fromscratch:12.1:061-entering_the_chroot_environment

차이
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
차이 보기로 링크

양쪽 이전 판 이전 판
다음 판
이전 판
linuxfromscratch:12.1:061-entering_the_chroot_environment [2024/05/15 23:42] baecylinuxfromscratch:12.1:061-entering_the_chroot_environment [2024/06/15 10:15] (현재) – [7.4. Chroot 환경으로 들어가기] baecy
줄 1: 줄 1:
-====== 7.4루트 환경으로 들어가기 ======+^  Linux From Scratch - Version 12.1-systemd  ^^^ 
 +^  Chapter 7. Entering Chroot and Building Additional Temporary Tools  ^^^ 
 +|[[.:060-Preparing Virtual Kernel File Systems|이전]]  |  [[.:07-entering_chroot_and_building_additional_tempory_tools|위로]] / [[.:12.1|처음으로]]  |  [[.:062-Creating Directories|다음]]| 
  
-이제 나머지 필요한 도구를 빌드하는 데 필요한 모든 패키지가 시스템에 설치되었으므로 이제 루트 환경으로 들어가 임시 도구 설치를 마칠 차례입니다. 이 환경은 최종 시스템을 설치하는 데도 사용됩니다. 사용자 루트로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현재 임시 도구로만 채워진 환경으로 들어갑니다:+|상 커널 파일 시스템 준비  |  디렉터리 생성|
  
-<code lang=bash>+---- 
 + 
 +===== 7.4. Chroot 환경으로 들어가기 ===== 
 + 
 +이제 나머지 필요한 도구를 빌드하는 데 필요한 모든 패키지가 시스템에 설치되었으므로 이제 //chroot// 환경으로 들어가 임시 도구 설치를 마칠 차례입니다. 이 환경은 최종 시스템을 설치하는 데도 사용됩니다. //root// 사용자로 다음과 같이 아직은 임시 도구로만 채워진 환경으로 들어갑니다. 
 + 
 +<code bash>
 chroot "$LFS" /usr/bin/env -i   \ chroot "$LFS" /usr/bin/env -i   \
     HOME=/root                  \     HOME=/root                  \
줄 13: 줄 21:
     /bin/bash --login     /bin/bash --login
 </code> </code>
-사용 가능한 모든 논리 코어를 사용하지 않으려면 이 장과 다음 장에서 패키지를 빌드하는 데 사용할 논리 코어 수로 $(nproc)를 바꾸세요. 8장에 나오는 일부 패키지(특히 Autoconf, Libtool, Tar)의 테스트 스위트는 MAKEFLAGS의 영향을 받지 않고 대신 TESTSUITEFLAGS 환경 변수를 사용합니다. 여기에서도 다중 코어로 이러한 테스트 스위트를 실행하기 위해 이 변수를 설정했습니다. 
  
-env 명령에 -i 옵션을 지정하면 루트 환경의 모든 변수가 지워집니다. 그런 다음 HOME, TERM, PS1 및 PATH 변수만 다시 설정됩니다. TERM=$TERM 구문은 루트 내부의 TERM 변수를 루트 외부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합니다. 이 변수는 vim 등의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 필요합니다. CFLAGS 또는 CXXFLAGS와 같은 다른 변수가 필요한 경우 여기에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+사용 가능한 모든 논리 코어를 사용하지 않으려면 이 장과 다음 장에서 패키지를 빌드하는 데 사용할 논리 코어 수로 //$(nproc)//를 바꾸세요. [[.:08-Installing Basic System Software|8장]]에 나오는 일부 패키지(특히 Autoconf, Libtool, Tar)의 테스트 스위트는 ''MAKEFLAGS''의 영향을 받지 않고 대신 ''TESTSUITEFLAGS'' 환경 변수를 사용합니다. 여기에서도 다중 코어로 이러한 테스트 스위트를 실행하기 위해 이 변수를 설정했습니다. 
 + 
 +**env** 명령에 //-i// 옵션을 지정하면 //chroot// 환경의 모든 변수가 지워집니다. 그런 다음 ''HOME''''TERM''''PS1'' 및 ''PATH'' 변수만 다시 설정됩니다. //TERM=$TERM// 구문은 루트 내부의 ''TERM'' 변수를 chroot 외부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합니다. 이 변수는 **vim**이나 **less** 등의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 필요합니다. ''CFLAGS'' 또는 ''CXXFLAGS''와 같은 다른 변수가 필요한 경우 여기에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  
-이 시점부터는 모든 작업이 LFS 파일 시스템으로 제한되므로 더 이상 LFS 변수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, chroot 명령은 루트(/) 디렉터리를 $LFS로 설정한 상태에서 Bash 셸을 실행합니다.+이 시점부터는 모든 작업이 LFS 파일 시스템으로 제한되므로 더 이상 ''LFS'' 변수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, **chroot** 명령은 루트(/) 디렉터리를 ''$LFS''로 설정한 상태에서 Bash 셸을 실행합니다.
  
-경로에 /tools/bin이 없다는 점에 유의하세요. 이는 크로스 툴체인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.+경로에 ''/tools/bin''이 없다는 점에 유의하세요. 이는 크로스 툴체인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.
  
-또한 bash 프롬프트에 이름이 없다는 메시지가 표시됩니다! 이는 /etc/passwd 파일이 아직 생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상입니다.+또한 **bash** 프롬프트에 ''I have no name!'' 메시지가 표시됩니다! 이는 ''/etc/passwd'' 파일이 아직 생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상입니다.
  
-[참고] 참고 +<WRAP info center round 90%> 
-이 장의 나머지 부분과 다음 장의 모든 명령은 루트 환경 내에서 실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재부팅 등의 이유로 이 환경을 떠나는 경우 7.3.1절 "/dev 마운트 및 채우기" 및 7.3.2절 "가상 커널 파일 시스템 마운트하기"에 설명된 대로 가상 커널 파일 시스템이 마운트되었는지 확인하고 설치를 계속하기 전에 다시 chroot로 들어갑니다.+**참고** \\ 
 +이 장의 나머지 부분과 다음 장의 모든 명령은 //chroot// 환경 내에서 실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재부팅 등의 이유로 이 환경을 떠나는 경우 [[.:060-preparing_virtual_kernel_file_systems#7.3.1. dev 마운트 및 생성|7.3.1절 "/dev 마운트 및 생성"]] 및 [[.:060-preparing_virtual_kernel_file_systems#7.3.2. 가상 커널 파일 시스템 마운트|7.3.2절 "가상 커널 파일 시스템 마운트"]]에 설명된 대로 가상 커널 파일 시스템이 마운트되었는지 확인하고 설치를 계속하기 전에 다시 //chroot// 환경으로 들어갑니다.</WRAP>
  • linuxfromscratch/12.1/061-entering_the_chroot_environment.1715816525.txt.gz
  • 마지막으로 수정됨: 2024/05/15 23:42
  • 저자 baec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