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| 이전 판 |
linuxfromscratch:12.1:165-creating_the_etcfstab_file [2024/06/11 11:54] – 바깥 편집 127.0.0.1 | linuxfromscratch:12.1:165-creating_the_etcfstab_file [2024/06/15 13:39] (현재) – baecy |
---|
===== /etc/fstab 파일 생성 ===== | ^ Linux From Scratch - Version 12.1-systemd ^^^ |
''etc/fstab'' 파일은 일부 프로그램에서 기본적으로 마운트할 파일 시스템의 위치와 순서, 그리고 마운트하기 전에 (무결성 오류를) 확인해야 하는 파일 시스템을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. 다음과 같이 새 파일 시스템 테이블을 만듭니다. | ^ Chapter 10. Making the LFS System Bootable ^^^ |
| |[[.:164-introduction|이전]] | [[.:10-Making the LFS System Bootable|위로]] / [[.:12.1|처음으로]] | [[.:166-linux-6.7.4|다음]]| |
| |
| |개요 | Linux-6.7.4| |
| |
| ---- |
| |
| ===== 10.2. /etc/fstab 파일 생성 ===== |
| |
| ''etc/fstab'' 파일은 일부 프로그램에서 기본적으로 마운트할 파일 시스템의 위치와 순서, 그리고 마운트하기 전에 무결성 확인해야 하는 파일 시스템을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. 다음과 같이 새 파일 시스템 테이블을 만듭니다. |
<code bash> | <code bash> |
cat > /etc/fstab << "EOF" | cat > /etc/fstab << "EOF" |
EOF | EOF |
</code> | </code> |
| |
<xxx>, <yyy>, <fff>를 시스템에 적합한 값(예: sda2, sda5, ext4)으로 바꿉니다. 이 파일의 6개 필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[[https://man.archlinux.org/man/fstab.5|fstab(5)]]를 참조하세요. | <xxx>, <yyy>, <fff>를 시스템에 적합한 값(예: sda2, sda5, ext4)으로 바꿉니다. 이 파일의 6개 필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[[https://man.archlinux.org/man/fstab.5|fstab(5)]]를 참조하세요. |
| |
MS-DOS 또는 Windows에서 기인한 파일 시스템(예: vfat, ntfs, smbfs, cifs, iso9660, udf)의 경우 파일 이름의 ASCII가 아닌 문자가 제대로 해석되려면 특수 옵션인 utf8이 필요합니다. utf8이 아닌 로캘의 경우 ''iocharset''의 값을 해당 로캘의 문자 집합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커널이 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조정해야 합니다. 이는 관련 문자 집합 정의(kernel config의 File System -> Native Language Support에서 찾을 수 있음)가 커널에 컴파일되었거나 모듈로 빌드된 경우 작동합니다. 그러나 로캘의 문자 집합이 UTF-8인 경우 해당 옵션 ''iocharset=utf8''을 사용하면 파일 시스템에서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.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UTF-8 로캘의 경우 ''iocharset=utf8'' 대신 특수 옵션인 ''utf8''을 사용하세요. vfat 및 smbfs 파일 시스템에도 "codepage" 옵션이 필요합니다. 해당 국가의 MS-DOS에서 사용되는 코드페이지 번호로 설정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,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마운트하려면 ru_RU.KOI8-R 사용자는 ''/etc/fstab''의 마운트 옵션 부분에 다음이 필요합니다. | MS-DOS 또는 Windows에서 기인한 파일 시스템(예: vfat, ntfs, smbfs, cifs, iso9660, udf)의 경우 파일 이름의 ASCII가 아닌 문자가 제대로 해석되려면 특수 옵션인 utf8이 필요합니다. utf8이 아닌 로캘의 경우 ''iocharset''의 값을 해당 로캘의 문자 집합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커널이 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조정해야 합니다. 이는 관련 문자 집합 정의(kernel config의 File System -> Native Language Support에서 찾을 수 있음)가 커널에 컴파일되었거나 모듈로 빌드된 경우 작동합니다. 그러나 로캘의 문자 집합이 UTF-8인 경우 해당 옵션 ''iocharset=utf8''을 사용하면 파일 시스템에서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.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UTF-8 로캘의 경우 ''iocharset=utf8'' 대신 특수 옵션인 ''utf8''을 사용하세요. vfat 및 smbfs 파일 시스템에도 "codepage" 옵션이 필요합니다. 해당 국가의 MS-DOS에서 사용되는 코드페이지 번호로 설정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,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마운트하려면 ru_RU.KOI8-R 사용자는 ''/etc/fstab''의 마운트 옵션 부분에 다음이 필요합니다. |
<code>noauto,user,quiet,showexec,codepage=866,iocharset=koi8r</code> | |
| <code> |
| noauto,user,quiet,showexec,codepage=866,iocharset=koi8r |
| </code> |
ru_RU.UTF-8 사용자를 위한 해당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. | ru_RU.UTF-8 사용자를 위한 해당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. |
<code>noauto,user,quiet,showexec,codepage=866,utf8</code> | |
| <code> |
| noauto,user,quiet,showexec,codepage=866,utf8 |
| </code> |
파일 시스템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 ''iso8859-1''의 경우 ''iocharset''을 사용하는 것이 기본값이며, utf8 옵션은 커널에 UTF-8을 사용하여 파일 이름을 변환하여 UTF-8 로캘에서 해석할 수 있도록 지시한다는 점에 유의하세요. | 파일 시스템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 ''iso8859-1''의 경우 ''iocharset''을 사용하는 것이 기본값이며, utf8 옵션은 커널에 UTF-8을 사용하여 파일 이름을 변환하여 UTF-8 로캘에서 해석할 수 있도록 지시한다는 점에 유의하세요. |
| |
일부 하드 디스크 유형의 경우 정전 시에도 ext3 파일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. 이렇게 하려면 ''/etc/fstab''의 해당 항목에 ''barrier=1'' 마운트 옵션을 추가합니다. 디스크 드라이브가 이 옵션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려면 해당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[[https://www.linuxfromscratch.org/blfs/view/stable-systemd/general/hdparm.html|hdparm]]을 실행합니다. 예를 들어 | 일부 하드 디스크 유형의 경우 정전 시에도 ext3 파일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. 이렇게 하려면 ''/etc/fstab''의 해당 항목에 ''barrier=1'' 마운트 옵션을 추가합니다. 디스크 드라이브가 이 옵션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려면 해당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[[https://www.linuxfromscratch.org/blfs/view/stable-systemd/general/hdparm.html|hdparm]]을 실행합니다. 예를 들어 |
| |
<code>hdparm -I /dev/sda | grep NCQ</code> | <code> |
가 비어 있지 않고 출력을 반환하면 이 옵션이 지원되는 것입니다. | hdparm -I /dev/sda | grep NCQ |
| </code> |
| |
| 출력 결과가 비어 있지 않고 내용을 반환하면 이 옵션이 지원되는 것입니다. |
| |
참고: LVM(논리 볼륨 관리) 기반 파티션은 ''barrier'' 옵션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. | 참고: LVM(논리 볼륨 관리) 기반 파티션은 ''barrier'' 옵션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. |